보석감정14 보석의 물리적 성질 - 인성(Toughness), 벽개(Cleavage), 단구(Fracture) 1. 인성 (Toughness) 경도란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처가 잘 나지 않는 성질을 말합니다. 그러나 아무리 단단할지라도 떨어뜨려서 잘 깨진다면 강도가 있다고는 말할 수 없습니다. 강도란 결국 깨어지기 어려움을 말하며 반대로 말하면 부드러움을 나타내는 말은 인성이라고 부릅니다. 이것은 경도와는 관계가 없는 또 다른 보석의 성질입니다. 즉, 부서짐 쪼개짐 분열에 대한 저항성이 어느정도로 강한가를 말합니다. 열처리가 된 철 금속과 열처리가 되지 않은 철 금속에서는 전자는 칼로 쓰일 정도로 단단하지만 조금만 무리하면 부러지고 맙니다. 이런 경우가 강도는 있지만 인성은 부족한 것입니다. 후자는 다른 것을 잘 깎지는 못하지만 부러지지 낳고 구부러지는 정도입니다. 이것은 인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보석을 예로 들면.. 2023. 5. 4. 보석의 물리적 성질 - 비중(Specific Gravity), 경도(Hardness) 1. 비중(Specific Gravity) 비중이란 같은 부피의 4도씨의 물과 그 무게를 비교하는 것입니다. 무게를 비교할 경우 보통 큰 것이 무거움으로 같은 크기의 것과 비교하지 않으면 뜻이 없습니다. 때문에 같은 크기로서 1cm x 1cm x 1cm의 정사각형의 크기로 잘랐을 때의 무게를 비교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다이아몬드의 비중이 3.52라는 것은 다이아문드로 1cm³ 의 입방체를 만들었을 경우 그 무게는 3.52g이라는 뜻입니다. 4도씨의 물 1cm³ 의 무게는 1g이므로 다이아몬드는 물보다 3.52배 무거운 것으로 물 속에 가라 앉습니다. 그러므로 비중이 큰 것일 수록 체적은 작고 밀도는 높아집니다. 비교적 비중이 높은 보석은 강옥석 종류로 루비, 사파이어의 비중은 4.00입니다. 이에 비해.. 2023. 4. 28. 색의 원인 및 보석의 변색과 퇴색 1. 색의 원인 전에 투명한 보석은 색의 원인이 선택흡수라는 것을 말하였습니다. 그러나 여러가지 파장의 흡수나 통과가 다르게 되는 원인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커런덤이나 투어멀린과 같은 보석은 둘다 무색, 혹은 다양한 여러가지 색이 나오고 있는데 이것은 다른 종류의 보석에서는 볼 수 없는 색의 흡수가 일어난다는 것이 분명합니다. 화학 분석을 주의깊게 한 결과에 의하면 이 종류의 보석종이 절대 순수한 경우에 무색이라는 것이 나타났습니다. 여러가지 색은 불순물로 존재하는 소량의 금속 산화물 함량에 따라서 다르게 되는데 이런 보석을 알로크로매틱(allochromatic)이라고 합니다. 또한 주요 화학 원소가 색의 원인으로 되는 보석을 이디오크로매틱(idiochromatic)이라고 합니다. .. 2023. 4. 26. 물질의 구조 및 산의 영향 1. 물질의 구조 보석 전문가에게 광학적 물리적 특성, 그리고 보석의 화학적 성질에 대한 상세한 지식은 별로 필요치 않습니다. 그럼에도 물질의 구조나 기초 화학에 대한 기본 지식이 매우 도움이 될 때가 있습니다. 광물학자들은 광물을 화학 성분에 기초를 두고 분류합니다. 광물을 구성하는 원자의 결합이 물리적 특성을 결정하는 주요인이고 원자의 성질은 화학적 특성에 커다란 의미를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아래에 간단하게 화학의 기본적 배경을 설명하겠습니다. 과거 반세기 동안 매년 물질의 미세한 구조의 연구가 강화되어 왔고 그 지식의 가치가 비약적으로 인정되어 왔습니다. 예전에는 원소는 어느 일정한 방식으로 연결되었다고 여겨져 왔습니다. 그 후 원자중량이 올라가면 그 구조의 복잡함을 더하게 한다는 것이 확실해졌습.. 2023. 4. 21. 보석의 색채 보석을 연구하는 사람에게는 색을 이해하고 그 가치를 인식해서 명확한 감별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유색보석을 연구하는데 있어 업계의 여러가지 등급 방식 및 귀보석으로 보여지는 것의 색을 숙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색을 지칭하는 표현은 사람에 따라서 각기 다른 의미를 지니게 됨으로 어떤 표준화된 색의 명칭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또한 색의 연구를 신중히 하는 보석상에게 상당한 잇점이 있다는 것이 증명 되고 있습니다. 색상에 대한 감각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고객에게 색의 배합을 인정받을 수 있고 유색보석의 아름다움을 더욱 깊이 인식시킬 수 있게됩니다. (1) 색이란? 색이란 가시광선의 파장에 의해 눈이 자극된 결과로 생긴 것입니다 이런 현상을 좀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눈의 구조를 살.. 2023. 4. 20. 내포물의 성질 1. 내포물의 성질 천연 상태나 연구실에서 보석재료가 성장할 때 이물 또는 같은 재질의 조그마한 결정이 충적 중에 잡힌다든지 구조상의 불규칙이 생긴다든지 하는 때가 자주 있다. 보석 재료가 투명할 때 내포물이 크면 그것은 육안 또는 충분히 확대하여 보면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성장과정 중에 잡힌 물질을 내포물(inclusion)이라고 한다. 피쉬어(fissures), 클리비지(cleavage), 프랙쳐(fracture)는 임퍼펙션(Imperfection), 플로우스(flaws) 또는 블레미쉬(blemish)로 하는 편이 정확하다. 유색보석 중의 내포물을 유해하다고만 생각하기 보다는 아름다움을 해치지 않을 정도로 미세하고 수가 적은 경우는 그 돌의 특징으로 감별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생각해 두어야 한다... 2022. 7. 14. 보석결정의 특성 및 종류(2) 8. 면각 일정의 법칙 이상형과 곡형에 대허서 그 관계를 살펴보면 수정의 이상형에는 의 (a)형을 이루고 있으나 곡형에는 (b)와(c)의 형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들과 비슷한 면을 알파벳 r, z로 표기했으며 이 면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그 면적에는 큰 차이가 있으나 각 결정의 r과 z면의 각도는 모두 같은 각도(수정의 경우 60°)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법칙을 면각 일정의 법칙이라 한다. 결정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그 결정면의 크기는 여러가지 조건에 의해 이상형과 어긋나 버린다. 이것을 정벽이라 하는데 어떠한 경우에도 면각은 일정하다. 이것은 니콜라스 스테노(Nicolas Steno)에 의해 발견되었다. 9. 결정축 결정체 중앙의 한 점에서 교차되고 있는 상상선을 결정축이라 한다. 결정을 설명하.. 2022. 5. 4. 보석결정의 특성 및 종류(1) 1. 개요 결정구조의 연구는 광물학자만의 유일한 관심사였다. 그러나 고체의 성질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그 뛰어난 중요성은 모든 분야의 과학자들이 공통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20세기 초에 막스 폰 라우에(Max Von Laue)가 최초로 X선 회절을 이용해서 결정의 성질을 연구한 결과, 이러한 연구에 의해서 많은 문제가 해결된 사실이 과학자들의 눈을 뜨게 했다. 사실 결정으로 시작된 연구는 즉시 원자 연구를 진전시켜 원자 에너지를 포함하는 많은 새로운 분야를 개발했다. 보석에 대한 지식의 실용성과 관련하여 결정의 성질을 간단하게나마 연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결정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보석에 대한 내구성과 아름다움을 주는 중요한 특성 및 구조 사이에 존재하는 직접적인 연관성을 발견할 수 있다. 더우기,.. 2022. 5. 2. 이전 1 2 다음 반응형